Oct 13, 2024
2024년 10월 9일, 경기도 시흥 거북섬에서 문화마스터즈와 국제 중앙아시아학연구소(IICAS) 간의 양해각서(MoU) 체결식이 성공적으로 열렸습니다. 이 행사에는 문화마스터즈의 이사진, 주요 경영진, 주요 협력 파트너, 지역 이해관계자, 언론 관계자들이 참석하여 이번 파트너십의 중요성을 더했습니다.
이번 MoU는 한국과 중앙아시아를 포함한 전 세계의 유형 및 무형문화유산을 보존하고, 이를 통해 도시 발전과 경제 성장을 위한 기초를 마련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협력의 주요 분야는 다음과 같습니다:
▶ 문화유산 보존 프로젝트:
중앙아시아 문화유산을 보존하고 이를 세계적으로 알리기 위한 공동 프로젝트 개발.
▶ 디지털 콘텐츠 개발:
다큐멘터리 및 소셜미디어 콘텐츠와 같은 디지털 플랫폼을 통해 중앙아시아 유산을 글로벌 무대에 소개.
▶ 아리랑 마스터 프로그램 협력:
중앙아시아 및 한국의 무형문화유산 예술가와 실천가를 지원하고 발굴하기 위한 아리랑 마스터 프로그램 확장.
▶ 교육 프로그램 개발:
문화유산 관리 및 도시 계획에 관한 교육 프로그램과 연수 과정을 개발 및 운영.
▶ 도시 개발 협력:
문화유산을 바탕으로 한 지속 가능한 도시 개발 모델을 구축하고 이를 전 세계에 홍보.
체결식에서 컬처마스터즈의 박성용 대표이사와 장상욱 기획총괄실장이 발표를 진행했습니다.
박성용 대표는 문화마스터즈의 핵심 혁신 프로젝트와 시흥 거북섬 개발에 대한 비전을 소개했습니다. 그의 발표는 두 가지 주요 파트로 나뉘었습니다:
◆ 문화마스터즈의 혁신 프로젝트 소개:
▶ 아리랑 마스터 임명 프로젝트:
전 세계의 무형문화유산 예술가와 실천가를 발굴하고 지원하는 프로그램.
▶ 아리랑 컬처 커넥트 (arirangculture.news):
전 세계의 문화다양성 증진을 위해 다양한 문화와 무형문화유산을 전 세계에 알리는 온라인 뉴스 플랫폼.
▶ 무형문화유산 교육 프로그램:
도시의 지속 발전을 위한 무형유산 보존 및 진흥에 관한 웨비나 형식의 온라인 프로그램: IAB 위원국 중심으로 각국의 도시 발전과 무형유산 및 문화적 독특성을 중심으로 문화종사자와 기업가 등 폭넓은 참가자 대상 온라인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 도시 개발 프로젝트:
무형문화유산을 통한 도시 개발 모델과 전략 제안 - 시흥거북섬 발전 프로젝트 추진
그는 기후 변화 대응과 평화 문화를 촉진하는 정책이 모든 이니셔티브의 우선 과제가 될 것임을 강조했습니다.
▶ 해양 레저 및 무형문화 중심지:
시흥 거북섬을 해양 레저와 무형문화의 글로벌 허브로 개발할 계획.
▶ 문화콘텐츠 산업과 스마트 산업단지와의 시너지:
창의적 문화 콘텐츠 산업과 시흥 스마트 산업단지를 연계해 시흥 경제를 활성화하기 위한 전략.
이어 장상욱 기획총괄실장은 시흥 거북섬에서 개최될 예정인 세계 민족 공연 예술제와 경제 비전 포럼에 대해 간략히 발표했습니다. 그는 이 행사가 시흥 거북섬의 발전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글로벌 문화 교류와 경제 협력의 장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IICAS의 에브렌 루트빌 소장은 축사에서 “이번 협정을 통해 중앙아시아와 한국의 문화유산을 글로벌 무대에 선보이고, 시흥 거북섬의 도시 개발 프로젝트를 국제적으로 확장하는 데 적극 협력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그는 양 기관이 국제 도시 개발과 문화유산 보존의 미래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는 기대를 표명했습니다.
이번 MoU를 통해 문화마스터즈와 IICAS는 다양한 프로젝트를 추진하여 시흥 거북섬을 글로벌 문화 및 경제 허브로 변모시킬 계획입니다. 두 기관은 거북섬을 해양 레저와 무형문화유산의 중심지로 개발하고, 이러한 지속 가능한 도시 개발 모델을 전 세계에 확산할 예정입니다.
박성용 대표는 “이번 협정은 혁신적인 문화유산 보존 및 도시 개발 모델을 제시하는 중요한 출발점입니다. 우리는 글로벌 협력을 통해 큰 성과를 거두고, 시흥 거북섬을 세계적으로 유명한 문화 도시로 자리매김하겠습니다”라고 말했습니다.
양 기관은 다양한 국제 프로젝트를 통해 협력을 강화하며, 시흥 거북섬을 성공적인 도시 모델로 발전시키고 이를 글로벌하게 확산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할 계획입니다. 그들은 글로벌 문화유산 보존과 도시 개발 분야의 선도적인 기관으로 자리 잡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끝).